한국어교원필수교육으로는 한국어학,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한국문화, 한국어교육실습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1. 한국어학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국어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으로 국어학의 정의, 국어학의 연구 분야, 언어의 특성 등을 다루고 있으며, 한국어의 특질에 대한 내용으로 국어의 음운, 어휘, 문법 등을 교육함. (한국어학개론,한국어음운론,한국어문법론,한국어어휘론,한국어의미론,한국어화용론,한국어사,한국어어문규범)
2.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시 필요한 언어학 이론과 언어습득에 대하여 교육함. (대조언어학,사회언어학,심리언어학,외국어습득론)
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론으로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해 및 표현 교육과 발음, 어휘, 문법, 문화 교수법 등은 물론 교육과정, 교수설계, 평가, 교재 연구 등 한국어 교사에게 실제로 필요하고 유용한 이론을 교육함. (한국어교육개론,한국어교육과정론,한국어평가론,언어교수이론,한국어표현교육법(말하기,쓰기),한국어이해교육법(듣기,읽기),한국어발음교육론,한국어어휘교육론,한국어교재론,한국문화교육론,한국어한자교육론,한국어교육정책론
4. 한국 문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시 필요한 한국의 사회, 문화, 문학 등을 교육함 (전통문화,현대문화,한국문학개론,현대한국사회)
5. 한국어교육실습 교안작성, 강의실습, 강의참관 등 |